2023년 2월 15일 신문을 통해

2023년 2월 15일 신문에서 알게 된 사실

1. 휘발유와 경유 가격이 9개월 만에 역전됐다? → 겨울이 끝나면서 난방요구량 감소…국제경유가격 하락. 13일 1613원 대 1577원 경유는 여전히 전국 평균으로 비싸지만 그 차이가 좁혀지며 휘발유보다 싸게 파는 주유소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(아시아경제).

2. 일본도 ‘임금제도’를 바꾸고 있는데 한국은 왜 못 바꾸나. 젊은 세대 사이에서는 “우리는 더 열심히 일하고 더 잘하는데 기성세대가 더 많이 받는다”는 불만이 있다.

반면 기성세대는 “어렸을 때는 빡센 노동과 저임금을 견뎌야 했다.

성과급으로 전환하면 보상은 어디서 받느냐”고 말했다.

… 세대 갈등. (아시아경제)

3. 김주애와 함께한 북한, 이번에는 ‘우표’까지→김 위원장과 김주애(10세)가 14일 북한 조선우체국이 발행한 새 우표 도안 8종 중 5종에 등장한다.

김여정의 존재감은 상대적으로 작다는 분석(세계)▼


2023년 2월 15일 신문을 통해 1

4. 에너지 가격 폭등으로 인한 원전 의존도 증가 → 원전 중 역대 최대 지난해 원전 비중은 29.6%로 2016년(30.0%) 이후 가장 컸다.

지난해 1kWh당 발전단가는 원전 52원, 유연탄 157원, 무연탄 202원, LNG(양식) 240원이었다.

5. “제주 4·3은 북한 대학에서 김일성이 가르쳤다” → 태영호 의원, 13일 제주인민의힘 합동연설에서 발언 재확인 “김달삼·고진희 4×3 사건의 주동자 등이 북한 애국열사 묘역에 안장됐다”며 “북한 정권에 복무한 사람으로서 책임감을 느껴 사죄드린다”… 제주4·3은 “황당한 발언”이라며 사과와 이사직 사퇴를 요구했다.

(문화)

6. 지난해 장기기증 등록자 171만 명 → 하지만 현행법상 본인이 원해도 가족(유족)의 동의 없이는 장기기증이 불가능하다.

인맥 없는 사람 장기기증 불가능… 개정 필요. 목소리. 해외에서는 장기기증을 명시적으로 거부하지 않는 한 자동으로 장기기증 동의로 간주됩니다.

(문화)

7. 터키 지진 영향, 우리나라 지하수위 영향 →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내륙 지정 관측정 2곳(경상북도 문경시, 강원도 강릉시)에서 관측한 결과 최대 7㎝… 5~10㎝였던 경주 지진 때 수위 변화와 비슷하다.

지진이 발생하면 지층이 압축 팽창하면서 지하수면이 오르락 내리락을 반복한다(한국).

8. “스티로폼” → 정식명칭은 발포폴리스티렌(EPS)인데, 플라스틱 폴리스티렌(PS)에 가스를 불어넣어 부풀게 한 것으로 미국산 제품을 따서 스티로폼이라 명명하였다.

전체 부피의 98%는 가스입니다.

음식물이나 이물질이 묻은 것은 재활용할 수 없습니다.

미국과 캐나다(한국)에서도 금지 조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.

9. 지금 우리는 “사실상 감정 내전 중” → 대화문화아카데미 주최 간담회에 참석한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이제 우리의 정치적 이견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을 “중”으로 평가한다.

사실 정서적 내전 상태”. (가운데)

10. 탈의실? 기도실? → 한자 “更”은 “강”과 “경”으로 동시에 읽을 수 있습니다.

옷을 갈아입는다는 뜻으로 표준국어사전에는 ‘경의’만 있고 ‘갱의’라는 단어는 없다.

“경의실”은 표준어이고 “경의실”은 비표준어입니다.

▷ “갱신”은 계약 연장이나 운전 면허증에 적합하고 ▷ “갱신”은 신기록에 적합합니다.

▷ ‘추가예산안’이 아니라 ‘개정안’입니다(박재의 맛있는 우리말).

그게 다야